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사이드 아웃'으로 배우는 조직 커뮤니케이션

HR Contents

by HCL. inc. 2020. 12. 21. 14:30

본문

학습목표

조직에서 업무 및 관계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이해하고, 상사 및 동료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Copyright @ 원운식대표 PSF LAB

정서(Emotion)란 관찰되는 것이 아니라 추론되는 것이며 모든 정서는 자극에 대한 반응이라 할 수 있다. 기분, 감정, 기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모든 정서는 인지, 느낌 그리고 행동의 세 가지 측면을 포함하는데 인지는 평가, 느낌은 감각, 행동은 행동경향성을 의미하기도 하며 기능적이며 유용하다.(@ Plutchilk, 1982)

다시 말해 정서(emotion)란, 인지(cognition)과 느낌(feeling), 행동(behavior) 간의 관계다. 인간의 정서는 밖으로 향하는 일종의 운동으로, 심적 에너지들이 밖으로 드러나 표현되는 것이다. 즉 공포, 놀람, 슬픔, 분노. 행복과 같은 감정이 뇌의 신호에 의해서 형성돼 표출되는 양태를 의미하며 정서지능이 높다는 것은 그것을 잘 조절하고 표현하는 것이다. 정서를 부정하거나 억압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실제 정서를 잘 조절하는 사람이 더 적응적이고 기능적이다.

 

정서심리학(情緖心理學, psychology of emotion)은 정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자기 정체성을 창출하기 위해 정서를 이성과 어떻게 통합해야 하는지에 관한 연구를 하는 학문이다. 정서란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나의 느낌이 반영된 것을 뜻한다. 따라서 정서 또한 인간을 행동하도록 조직화하는 원인이 된다. 다시 말해 정서는 환경적응적이므로 우리의 기억과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까닭에 정서 또한 동기적인 측면을 가진다. 또한 정서는 우리에게 무엇인가를 알려주기 때문에 정서는 일종의 의사소통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정·의라는 세 가지 분야로 나눌 때, 인지(認知)에 해당하는 분야는 주로 ‘인지심리학(認知心理學, cognitive psychology)’에서 다루고, 정(情)에 해당하는 분야는 ‘정서심리학’, 그리고 의(意)에 해당하는 분야를 ‘동기심리학’에서 다루게 된다.

 

인사이드 아웃

인사이드아웃의 아이디어 자체는 새롭지 않다. 우디 앨런 감독의 1972년작 <당신이 섹스에 대해 알고 싶...

blog.naver.com

 

 

 

'인사이드 아웃' 11가지, 심리학자에게 물어봤다

&영화 '인사이드 아웃' 공식 포스터&영화 '인사이드 아웃'이 흥행 돌풍

www.wikitree.co.kr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