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물론 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 등 주요 국가들의 인구변동의 특성을 통해 미래사회를 예측하려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등의 모바일기기와 이를 통해 축적되는 빅 데이터가 건강관리 및 증진과 같은 보건 분야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학술적 궁금증을 탐구하고 있다. 학술활동 뿐 아니라 삼성 사장단, 현대기아자동차 글로벌리더과정, 생명보험협회, LG인화원 등 기업대상 강의와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의 최고위과정 강의를 통해 인구와 미래사회에 대한 연구 내용과 결과가 사회에 파급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정해진 미래, 시장의 기회 - 교보문고
《정해진 미래》를 통해 인구학적 관점을 알기 쉽게 소개한 바 있는 서울대학교 조영태 교수가 인구학적 전망을 토대로 어떻게 시장의 기회를 찾아낼 수 있는지 설명하는 『정해진 미래, 시장��
www.kyobobook.co.kr
양혁승교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조직운영 방향 (0) | 2020.07.03 |
---|---|
문석현쇼호스트, 품격 있는 소통의 기술 (0) | 2020.06.18 |
최재붕교수, 코로나사피엔스 - 신인류의 미래를 말한다 (0) | 2020.06.09 |
이지은대표, 자기성찰과 위로, 힐링의 시간 (0) | 2020.06.01 |
맹명관박사, 코로나19 후, 트렌드의 변화 (0) | 2020.05.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