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조직이 어떤 모습을 갖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여러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현재의 거대하고 촘촘한 위계적 피라미드 조직은 궁극적으로 작은 아메바형 기능조직들로 분절된 수평적 조직으로 변할 것이라는 관점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물론 산업의 종류나 비즈니스 모델, 기존 기업문화 등에 따라 이런 조직 수평화의 속도와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전개될 것이다. 미래의 수평적 조직에서는 승진이 사라질까? 승진이 사라진다면 직원들에게 어떻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을까? 홀라크라시를 도입한 기업들의 사례를 보면 좋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홀라크라시란 1967년 영국의 문학가인 아더 쾌슬러(Arthur Koestler)가 쓴 심리철학서 <The ghost in the machine(기계 속의 영혼)>에서 따온 용어이다. '자율적(Autonomous)이고 자급자족의 단위(Self-sufficient Unit)면서 더 큰 전체에 의존적인 단위로 이뤄진 시스템'을 의미한다.
홀로크라시는 기본적으로 '역할'에 기반을 둔 '서클(Circle)'이라는 단위 조직으로 구성된다. 이런 서클은 기존 피라미드형 부서 조직과는 다른 형태의 수평적이고 자율적 조직이다. 서클은 기능이나 프로젝트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구성될 수 있으며 조직원들은 하나 또는 복수의 서클에서 역할을 맡고 이에 따르는 책임과 권한을 행사한다. 전통적 조직에서 열심히 일을 하는 '역할 수행자'가 조직 하부에 따로 있고, 위로 갈수록 관리 및 의사결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과 크게 비교된다. <장은지대표, 동아비즈니스리뷰 기고문 중 일부>
퍼실리테이션 설계 프로세스 (0) | 2020.04.23 |
---|---|
HRD DT의 방향과 과제 (0) | 2020.04.08 |
4차 산업혁명, 노사관계 차원 과제와 대응전략 (0) | 2020.03.23 |
애매한 자기계발 말고 경력개발하자 (0) | 2020.03.13 |
‘심리적 안정` 때 회사 성과 날아오른다 (0) | 2020.03.0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