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는 브런치 작가로 활동하고 계시는 Good Infulence님의 동의를 얻었습니다. © credit. Good Influence
산업혁명 이후 20세기까지 기업 조직들은 그 안에 속한 개인의 삶에 대해 지속적인 이야기를 제공해 주었습니다. 직장인들은 그들이 속한 조직 안에서 삶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그로 인해 ‘조직은 곧 나’라는 공식이 성립되었습니다. 조직은 개인의 삶의 대본을 써주고 그대로만 이행하면 평생의 일터를 보장했습니다. 대다수의 기업 구성원의 꿈은 조직 내에서 팀장, 부장, 임원으로 수직 상승하는 것이었고, 조직은 주어진 대본을 잘 수행하는 이에게 이런 보상을 해줬습니다.
21세기로 넘어오면서 이런 동화 같은 이야기는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이미 IMF 때 기업 중심의 사회적 안전망이 해체되었습니다. 그때부터 직업 세계는 점차 안갯속으로 진입해 현재는 모든 것이 불확실하고 불안정해졌습니다. 예측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 현재 우리가 느끼는 직업 세계의 변화는 자연이 변화하는 것에 은유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그동안 움직이지 않는다고 생각한 땅을 밟고 예측 가능한 날씨와 비교적 뚜렷한 사계절의 변화를 느끼며 살았다면, 이제는 흔들리는 땅을 딛고 예측 불가한 기후와 경계가 희미해진 계절처럼 직업의 세계도 변하고 있는 것입니다.
직업 세계는 고용안정성 중심에서 고용가능성 중심으로 재편되었습니다. 이제 더 이상 조직에서 주어지는 이야기로 살아가는 시대는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자신과 자신의 일에 대한 이야기를 스스로 쓸 수 있는 사람만이 직업의 세계에 존속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업 조직 안에서 주어진 대본에 의해 사는 사람들이 가장 착각하는 것이 자신의 직책과 자신을 동일시한다는 것입니다. 언젠가는 모두가 비닐하우스 같은 조직에서 벗어나야 하는데도 말이죠. 이제 많은 기업들이 직급을 없애거나 간소화하고 수평적 조직을 만든다고 해서 그마저도 요원해지고 있습니다.
이제 이야기의 중심은 조직이 아니라 자신이 되어야 합니다. 21세기는 ‘무한히 변화하고’, ‘경계가 없는’ 경력의 시대입니다. 남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변화하고 변화를 시키는 것입니다. 우리의 이야기에서는 세상에 중심을 두고 자신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 자신을 중심으로 세상을 돌리는 태도와 실천이 필요합니다. 당연히 성공의 기준은 세상 사람들이 정한 가치가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가치가 중요합니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는 있을 것입니다. 문제는 자신의 이야기를 쓰려고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경력과 성공을 정의하는 데에도 충분한 시간을 투자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신영복 교수의 말씀처럼 머리에서 가슴까지, 또 가슴에서 발까지의 여정이 그렇게도 먼 법입니다.
김승옥 작가의 『무진기행』을 보면, 서울에서 제약회사 전무 승진을 앞두고 있는 주인공 윤희중은 고향인 무진에 내려와 동창과의 모임에서 음악선생 하인숙을 만나게 됩니다. 서울에서 음대를 졸업했다는 하인숙은 졸업발표회에서 오페라 『나비부인』에 나오는 ‘어떤 개인 날’을 불렀다고 자랑하지만, 정작 세무서 무리들의 요구에 ‘목포의 눈물’을 이것도 저것도 아닌 장르로 부르고 맙니다. ‘어떤 개인 날’은 버림받은 주인공이 어떤 개인 날에는 임이 찾아온다고 믿으며 부르는 노래입니다. 하인숙은 무진을 떠나고 싶지만 스스로 노력하기 보다 누군가 자신을 데려가 주기를 바라며 다른 남자들에게 매달리는 인물입니다. 윤희중은 조국의 근대화를 상징하며 흐린 날에는 사람들의 손을 잡아줘야 한다고 말하지만 결국 무책임을 긍정하기로 하고 하인숙과 잠자리 후 서울로 떠나버립니다. 1960년대를 배경으로 쓴 소설이지만 현재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역사문제연구소의 후지이 다케시 실장은 “누군가 우리를 지켜준다고 믿고 있는 한 우리는 스스로의 무지와 무능을 깨달을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라고 합니다. 그의 논리를 직장인인 우리에게 적용하자면, 우리가 조직에 헛된 희망 또는 조직의 무능을 탓하고 있을 때 우리는 스스로가 유능해질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있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조직이 자신의 경력을 책임지지 않는다고 냉정하게 생각하고 성장의 필요를 절실히 느낄 때 성장의 발걸음을 뗄 수 있습니다.
일본 동경대 경제학부 이토 모토시게 교수는 자신의 책에서 ‘일하다’의 의미를 노동(labor), 작업(work), 플레이(play)로 구분합니다. 노동(labor)은 육체를 써서 하는 일을 말하는데, 산업혁명 이전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육체노동을 하였습니다.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사람들은 점점 육체노동에서 벗어나며 두 번째 의미인 작업(work)을 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일은 기계를 조작하고 사무실에 앉아 사무를 보는 것으로 변화되었습니다.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해진 매뉴얼에 따라 맡은 일을 정확하게 처리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기술혁신과 글로벌,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현재는 플레이(play)로 의미가 변하고 있다고 합니다. 플레이어는 자신의 전문성과 콘텐츠를 가진 사람입니다.
대기업이 고용을 보장해 주던 작업의 시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이제는 자신이 속한 기계의 톱니바퀴가 얼마나 큰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물론 초기 경력을 쌓는 데는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기업은 비용을 절감하고 경쟁력을 높이려고 애를 씁니다. 가치는 곧 숫자로 환원됩니다. 이때 비교 우위에 있는 가치들은 생존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숫자는 제외될 뿐입니다. 가치 있는 플레이어는 조직 속이든, 밖이든 가치가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토 교수는 조직에서나 시장에서나 플레이어가 아닌 작업자의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떨어질 수밖에 없고, 작업자로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조직은 절대로 그들을 책임지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조직 안에 있다고 하인숙처럼 현실을 외면하고 헛된 희망만을 바라서는 안 됩니다. 카페에 앉아 커피를 마시며 창밖을 보면, 분주하게 오고 가는 사람들이 보입니다. 커피가 식으면 혹은 커피를 다 마시면 우리 자신도 그들과 같이 카페를 나와 새로운 길을 찾아 떠나야 합니다.
[참고문헌]
김승옥(1964). 무진기행. 문학동네.
신영복(2016). 처음처럼. 돌베개.
이토 모토시게(2015). 도쿄대 교수가 제자들에게 주는 쓴소리: 흔들리는 내 마음을 붙잡아 줄 독한 충고. 갤리온.
후지이 다케시(2015). 세상읽기: 흐린 날엔. 한겨례신문
Savickas. M. L.(2016). 커리어 카운슬링. 김봉환, 김소연, 정희숙 역. 박영스토리
일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꿔야 성장할 수 있다
직장에서 성장하는데 중요한 하나의 요소는 일을 보는 관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일이 하기 싫습니다. 일은 적게 하고 돈은 많이 받고 싶은 효율성을 추구하죠. 저도 예외일 수 없습니다. 고용주와 직원은 서로의 효율성을 맞대고 각자의 머리를 굴리고 있는 셈이죠. 직장에서의 일을 바라볼 때 돈을 벌기 위한 행위로만 본다면 위에서 말한 논리에서 벗어날
brunch.co.kr
직장인을 성장시키는 원동력
현대인들은 하루의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냅니다. 따라서 우리는 직장에서 보내는 많은 시간을 보다 잘 활용해야만 성장 할 수 있습니다. 직장에서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교육(연수) 과정이 있고, 그 외에도 상사의 코칭, 선배의 멘토링, OJT(On the Job Training)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직장에
brunch.co.kr
‘일잘러’의 칭찬받는 보고 습관
직장인 초기 경력개발 | 1957년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가 ‘지식 근로(knowledge work)’라는 말을 사용하여 유명해진 이후 칼 포퍼(Karl Popper, 1963)와 앨빈 토플러(Alvin Toffler, 1970)는 지식 근로자의 출현을 예견했습니다. 지식 근로는 정보를 만들고, 처리하고, 향상시키며 문제를 해결하는 일을 말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지
brunch.co.kr
경력에서 성공하고 싶다면 자신의 일에 의미부터 부여하라
경력에서 성공하고 싶다면 자신의 일에 의미부터 부여하라
직장인 초기 경력개발 | “세상에 하찮은 일은 없다. 하찮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뿐이다.”라는 말이 있죠. 조금 진부한 표현이지만 생각해보면 지극히 당연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의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상당히 주관적이기 때문입니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자신만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아니면 그냥 어쩌다 하게 됐으니 별생각 없이 하고 있는지의 문제
brunch.co.kr
위임만 잘해도 절반은 성공
일을 맡으면 셀프 업무분장을 해야 하는 이유 | 직장에서 발생하는 일들은 혼자 처리할 수 있는 일상적인 업무도 있지만,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일 또한 그에 못지않게 많습니다. 일을 할 때 가장 먼저 파악해야 할 것이 무엇일까요? 당연히 업무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최종 납기일 것입니다. 이 세 가지는 업무에 착수하기 전에 알아야 하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사항이므로 업무를 받을 때 비교적 잘 파악
brunch.co.kr
워라밸의 가능성을 높여주는 작은 습관
직장인 초기 경력개발 | 직장에서 하는 일 중에는 당최 익숙해지지 않는 일이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외화송금이나 교육 경비를 처리하는 업무가 그런 종류의 일입니다. 한 달에 한두 번씩, 아니면 두어 달에 한 번씩 하는 일이라서 익숙해질 수 있는 경험 주기도 아니고 시스템을 통한 처리 과정이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저에게는 예산과 경비 처리 업무이지만 다른 분들도 이런 종류의
brunch.co.kr
고수는 빠르고 하수는 급하다
직장인 초기 경력개발 | 앞에서 치밀한 일처리에 대한 얘기를 하면서 빠른 것과 급한 것은 완전히 다르다고 말했습니다. 이번에는 이 두 가지 개념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보고자 합니다. 빠른 것과 급한 것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언뜻 생각해보면 알 것 같은데 대놓고 생각해 본 적은 없을 겁니다. 우선 사전적으로 살펴보면 ‘빠르다’는 것은 ‘어떤 동작을 하는 데 있어 걸리는
brunch.co.kr
가장 중요하지만 쉽게 배울 수 없는'치밀한 일처리'
직장인 초기 경력개발 | 회사에서 인재양성 업무를 하다 보니 신입사원들과 마주하게 될 기회가 많다. 신입사원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아직 현업에 배치되어 일을 해보지 않고, 회사와 부서 분위기를 모르기 때문에 설렘과 두려움이 공존하는 심리상태를 볼 수 있다. 그들은 앞으로 자신이 어떤 부서에 배치되어 어떤 업무를 맡게 되고, 또 그 업무를 어떻게 해야 잘 적응하고 익힐 수 있을지 걱
brunch.co.kr
미래 조직의 모습, Holacracy (0) | 2020.03.27 |
---|---|
4차 산업혁명, 노사관계 차원 과제와 대응전략 (0) | 2020.03.23 |
‘심리적 안정` 때 회사 성과 날아오른다 (0) | 2020.03.09 |
게이미피케이션과 시뮬레이션 (0) | 2020.03.03 |
노동시장을 점령한 밀레니얼 세대 (0) | 2020.03.0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