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1. 현재 상황 평가하기
효과적인 퍼실리테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퍼실리테이터는 토의 주제뿐 아니라, 집단이 처한 사황이나 집단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주제, 이해관계자, 현재 관심사, 참가자, 기대하는 결과물
STEP2. 실행에 대한 이미지
퍼실리테이션을 설계할 때에는 워크숍이나 미팅이 종료된 후 그 결과물이 조직에 주는 중요성이나 결과를 어떻게 실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실행 조직 및 리더, 팔로우 업
STEP3. 집단 이해하기
퍼실리테이션에는 실제 토의에 참여하는 집단의 특성이 큰 영향을 미치므로, 설계에서 집단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주제 이해도, 주제에 대한 관심 수준, 과거 성공 경험, 집단의 문화, 현재 분위기
STEP4. 목표설정
Step1에서 Step3까지 기본적인 배경 정보를 파악하고 나면, 이를 바탕으로 토의의 목표를 설정하여 정리한다.
이성적 목표, 경험적 목표
STEP5. 디자인 하기
퍼실리테이션의 목표가 설정되면 퍼실리테이션 방법 및 절차, 시간, 장소와 같은 구체적인 사항들을 결정한다.
적절한 방법, 시간계획, 공간 확보 및 공간 활용계획, 분위기 및 이벤트
ICA Associate, T.O.P(Technology of Facilitation) - Design Events
팀 단위 조직개발 (0) | 2020.12.21 |
---|---|
ATD 주요 트랙의 변화 (0) | 2020.06.18 |
HRD DT의 방향과 과제 (0) | 2020.04.08 |
미래 조직의 모습, Holacracy (0) | 2020.03.27 |
4차 산업혁명, 노사관계 차원 과제와 대응전략 (0) | 2020.03.23 |
댓글 영역